목록𝐂𝐎𝐌𝐏𝐔𝐓𝐄𝐑 𝐒𝐂𝐈𝐄𝐍𝐂𝐄/𝐃𝐀𝐓𝐀𝐁𝐀𝐒𝐄 (3)
도순씨의 코딩일지
🌼 관계형 스키마와 인스턴스 관계형 인스턴스는 일정 시점의 스키마 값 내용입니다. 우리는 현시점에서 인스턴스를 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 집합(set) r의 원소 t를 튜플이라고 부르며, 이는 테이블에서 row(행)애 해당합니다. 🌼 속성(Attributes) 집합에 존재하는 attribute에 등장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값을 도메인(domain)이라고 부릅니다. 각 속성마다 도메인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서 ID 컬럼에 가능한 모든값 00000-9999 이러한 것들이 모두 도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. RDB에서 도메인은 매우 atomic한 상태로 존재합니다. 저도 이 말만 듣고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됐는데, dept_name에 computer science라는 값이 있다면 이 값은 교차하는 지점에서 오..
🌼 데이터 정의 언어(Data Definition Language, DDL) 데이터 정의 언어 란,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는 구문들의 집합입니다. SQL 안에 여러 기능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.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은 create table이 있다고 생각해봅시다. 이 create table의 이름은 instructor입니다. 형식에 대해 잠시 알아봅시다. char(5)는 문자형으로 고정된 값이 5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varchar(20)은 문자형 이름의 길이가 20이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마지막으로 numeric(8, 2)는 전체가 8자리이고, 소수점 아래 두 자리까지 나타냄을 의미합니다. 정리하자면, var은 숫자가 변경 가능함을 뜻하고 var이 없다면 숫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...
먼저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를 알아보겠습니다.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회사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고있습니다. 관련된 데이터의 집합,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프로그램, 사용하기에 효율적이고 편리한 환경 등이 수반되어야 합니다.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매우 가치 있는 정보, 상대적으로 큰 정보, 공유자원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.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데이터들이 대용량인 이유는 데이터가 크지 않으면 이러한 기술들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 작은 규모의 정보는 단순히 파일시스템만으로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. 공유자원이라는 것은 동시에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고, 그 데이터에 대한 경쟁이 벌어짐을 의미합니다. 현대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크고 복잡한 데이터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복잡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채택..